건강하게 잠 잘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기본원칙 11가지)
- 라이프
- 2022. 4. 4.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 시간은 개인별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은 평균 7~8시간이 필요하고, 어린이는 9~10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의 역할은 회복, 에너지 보존, 기억, 면역, 감정 조절 등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잠이 부족한 경우는 피곤하고 주간 졸림증과 기억력 및 집중력의 감소, 감정 기복이 심하고 식욕이 증가해 체중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1 건강생활 통계정보’에 따르면 수면장애(불면증) 진료실 인원은 2016년 543,184명에서 2020년 656,391명으로 113,207명 증가했다.
잠을 잘 자기 위한 기본 원칙
1. 매일 규칙적인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십시오.
2. 잠자는 환경이 조용하고 환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너무 덥거나 춥지 않도록 하십시오.
3.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십시오. 그러나 자기 직전에 지나치게 운동을 많이 하는 것은 더 잠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4. 카페인이 들어 있는 음료나 음식을 피하십시오.
5. 자기 전에 흡연이나 음주를 피하십시오. 술은 처음에는 수면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수면의 후반기에서 잠을 자주 깨게 하며 수면무호흡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6. 자기 전 따뜻한 목욕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7. 배가 고픈 상태나 과식을 피하십시오.
8. 잠자리에서 시계를 보거나 휴대전화를 자꾸 보는 일은 잠을 방해합니다.
9. 잠자리에서 TV를 보거나 독서를 하거나 먹거나 다른 일을 하는 것은 잠을 방해합니다. 잠자리에서는 잠을 자는 일만 하도록 하십시오.
10. 잠이 오지 않거나 중간에 깨어 잠이 오지 않을 경우에는 차라리 잠자리에서 일어나서 다른 일을 해보십시오. 다른 일을 하던 중 잠이 오면 그 때 잠자리로 가도록 하십시오.
11. 밤에 밝은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자료=대한수면연구학회>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숨은 자산 16조원 찾아가세요”…당국·금융권 공동 캠페인 알아보세요! (0) | 2022.04.12 |
---|---|
전국 숙박할인권 7일부터 발급…최대 3만원 지원 알아보세요! (0) | 2022.04.11 |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목공 체험 ‘비대면 키트’ 신청하세요! (0) | 2022.04.01 |
[Q&A] 해외에서 입국 후 며칠 동안 자가격리해야 하나요? (0) | 2022.03.28 |
봄철 패류 섭취 시 패류독소 식중독 주의하세요! (따끔거림, 구토, 마비증상)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