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69시간제 근로시간 제도개편 제대로 알려드립니다!

    Q1. 주 69시간제가 사실인가요?

    극단적 가정으로 사실이 아닙니다.
    특정 주에 연장근로를 늘리면 다른 주는 줄여야 합니다.

    Q2. 연장근로가 확 늘어나나요?

    현장 실태를 살펴보면 아닙니다!
    상용직 노동자 월 평균 연장근로는 10시간,
    매월 연장근로 발생 사업장은 0.73% 불과

    Q3. 사업주가 마음대로 야근시키면 어쩌나요?

    노사합의가 필수입니다.
    - 임금 1.5배할증 지급
    - 개별 근로자 동의
    - 근로시간 위반 시 형사 처벌 등

    Q4. 사업주가 야근을 요구하면 거절하기 어려워요!

    노사가 동등한 지위에서 근로자 의사를 반영하겠습니다.
    - 근로자대표의 권한과 책무 법제화

    Q5. 과로 등 건강을 해치지 않을까요?

    근로자의 건강권은 반드시 보호하겠습니다.
    ① 근로일간 11시간 연속 휴식 또는 1주 64시간 상한
    ② 4주 평균 64시간 상한
    ③ 최대 30%까지 연장근로 총량 감축(연단위 시)

    Q6. 현장에서 악용되면 어떡하나요?

    공짜노동, 포괄임금 오남용은 반드시 근절하겠습니다.
    · 역사상 최초의 기획감독 실시 중
    · 악용사례 신고센터 운영 예정
    · 후속대책 마련 추진

    부당한 일을 겪고 계신다면

    지금, 바로 「노사부조리 신고센터」에 연락하세요!
    ☞ 신고하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고용, 복지, 서민금융 서비스를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협업모델입니다. 고용복지+센터 찾기

    www.moel.go.kr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