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달라지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알아보세요! (신청조건, 지원금액, 목돈마련 등)
- 시사
- 2023. 1. 17.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무엇이 달라지나요?
∨ 5인 이상 중소기업 → 5인~50인 미만 제조, 건설업 중소기업
∨ 청년/기업 적립금 300만원 → 400만원
∨ 타부처 자산 형성 사업(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청년도약계좌) 동시가입 허용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중소기업에 처음 취업한 청년을 위해 청년 근로자,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공제부금을 적립하는 제도입니다. 적립한 금액은 2년 후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됩니다.
[공제금 적립] 청년(300만원) + 정부(600만원) + 기업(300만원) = 2년간 1,200만원 마련
청년과 기업, 정부가 함께 적립금을 모으는 것이다 보니, 2년 후에는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을 수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최소 2년 이상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하면서 경력을 쌓을 수 있음은 물론, 미래 설계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년의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입니다.
2023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심각한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제조·건설업종, 소규모기업을 대상으로 집중 지원합니다.
▲ 참여 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5명 이상인 중소기업
→ 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건설업 중소기업
▲ 적립 방식
청년 : 300만원 → 400만원
정부 : 600만원 → 400만원
기업 : 300만원 → 400만원 (기업부담 100%)
▲ 청년내일채움공제와 타부처 자산형성 사업 동시가입이 허용됩니다.
2023년에도 고용노동부는 청년에게 필요한 취업지원사업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워크넷-청년공제 홈페이지 (https://www.work.go.kr/youngtomorrow/index.do)
-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 (https://www.sbcplan.or.kr/intro.do)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3번 → 8번)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천만원 목돈 마련’ 청년도약계좌 6월 출시 (만 19~34세, 월 70만원, 5년간 납입) (0) | 2023.01.19 |
---|---|
2023년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신청하세요! (고령자장려금, 중장년장려금 등) (0) | 2023.01.18 |
0∼1세 부모급여 매달 25일 지급 (언제 어디서 신청하나요?) (0) | 2023.01.06 |
GTX-A 삼성∼동탄 터널로 연결…(개통땐 수서∼동탄 80분→19분) (0) | 2023.01.01 |
2023년 1월부터 ‘부모급여’ 지급 (0세 월 70만원·1세 35만원)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