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달라지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알아보세요! (신청조건, 지원금액, 목돈마련 등)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무엇이 달라지나요?

      5인 이상 중소기업 → 5~50인 미만 제조, 건설업 중소기업

     청년/기업 적립금 300만원 → 400만원

     타부처 자산 형성 사업(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청년도약계좌) 동시가입 허용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중소기업에 처음 취업한 청년을 위해 청년 근로자,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공제부금을 적립하는 제도입니다. 적립한 금액은 2년 후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됩니다

     

    [공제금 적립] 청년(300만원) + 정부(600만원) + 기업(300만원) = 2년간 1,200만원 마련

     

    청년과 기업, 정부가 함께 적립금을 모으는 것이다 보니, 2년 후에는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을 수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최소 2년 이상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하면서 경력을 쌓을 수 있음은 물론, 미래 설계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년의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입니다

     

    2023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심각한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제조·건설업종, 소규모기업을 대상으로 집중 지원합니다.

     

    ▲ 참여 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5명 이상인 중소기업

    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건설업 중소기업

     

     적립 방식

    청년 : 300만원 → 400만원

    정부 : 600만원 → 400만원

    기업 : 300만원 → 400만원 (기업부담 100%)

     

     청년내일채움공제와 타부처 자산형성 사업 동시가입이 허용됩니다.

     

    2023년에도 고용노동부는 청년에게 필요한 취업지원사업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워크넷-청년공제 홈페이지 (https://www.work.go.kr/youngtomorrow/index.do)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참여!! 청년은 장기근속과 목돈마련의 기회를, 중소기업은 우수인재 확보와 고용유지의 기회가 됩니다. 사업소개 바로가기

    www.work.go.kr

    -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 (https://www.sbcplan.or.kr/intro.do)

     

    내일채움공제

    내일채움공제

    www.sbcplan.or.kr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3 → 8)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